본문 바로가기

Defense & Military178

테러방지법 ㅡ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관련 내용 정리 출처#1.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law.go.kr) 출처#2.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시행령 (law.go.kr) 출처#3. 개인의 안전 | 생활속 안전 | 대테러 | 든든한 안보 | NIS 국가정보원 ㅇ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 (시행 2020. 6. 9) [법률 제 17466호, 2020, 6. 9) 제1조. 목적 테러의 예방 및 대응 활동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과 테러로 인한 피해보전 등을 규정함으로써 테러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가 및 공공의 안전을 확보 제2조. 정의 1. "테러" 란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외국 정부(외국 지방자치단체와 조약 또는 그 밖의 국제.. 2021. 3. 1.
<#95. 일본함정> ​ ㅡ 지금의 한일 관계를 치유가 불가능한 '복합골절' 상태라고 진단한다. ​ ㅡ 아베총리는 1990년대부터 역사 화해노선에 반대입장을 피력해왔다. 1993년 고노 요헤이 당시 관방장관이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사과한 '고노 담화'와 1995년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가 일본의 식민지배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죄하는 뜻으로 표명한 '무라야마 담화'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저지른 만행에 대해서도 애매한 태도를 취했다. 심지어 2013년 4월 참의원 예산 위원회에서는 "침략의 정의는 학문학적으로도 국제적으로도 정해져 있지 않다." 라는 발언을 했다. 그리고 8개월 뒤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강행했다. 물론 이러한 아베 총리의 역사수정주의 행태는 혼자만의 힘으로 이뤄진 것은.. 2021. 2. 8.
<아웃사이드 더 와이어 & 엔젤 해스 폴른 & 워머신 > ​1. 세 영화의 공통점 ㅡ 타임킬링용으로 볼만하고 주인공은 역시나 강려크하다. ㅡ 워머신을 제외하고, 액션 영화들은 권총을 엄청 좋아한다. 꼭 라이플이 있는데도 근거리원거리 할거 없이 권총으로 다 제압한다. 그러니 모든 전투원에게 권총을 보급해주길.. ㅡ 미국 혹은 미군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ㅡ '착한 전쟁은 없다. 전쟁은 비열하고 참혹한 것이다.' 의 메시지를 담았다. ​ 2. 아웃사이드 더 와이어(Outside the Wire) 1) 영화 설명 ㅡ 영화 제목 '아웃사이드 더 와이어(Outside the Wire)'는 '통제선 밖으로'라는 뜻으로 사실상 교전지역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영화는 통제선을 기준으로 최초 통제선 안에서 드론으로 실제 교전상황에 참여하는 주인공, 그는 하리보.. 2021. 1. 25.
<자도빌 포위작전(The Siege of Jadotville)> 1. 영화 설명 ​ ㅡ 넷플릭스 오리지날 영화로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1961년 콩고 내전시 '자도빌'이라는 마을에 파병된 아일랜드 1개 중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150명의 아일랜드군은 전투경험이 전혀 없었지만 3000명 가량의 프랑스 용병들과 콩고 민병대와 싸웠고, 결국 탄약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하였고, 용병 사령관 팔케스의 항복 제의를 수락해 감옥에 한달 간 갇혀있다가 본국으로 귀환한다. ​ ㅡ 영화 나래이션 부분 "강대국들은 아프리카를 지배하기 위해 다투고 있다. 새롭게 탄생한 콩고 공화국은 광물이 풍부한 카탕가를 두고 동서로 나뉘어 싸우고 있다." ​ "5일간의 자도빌 포위작전 중 아일랜드군 사망자는 없었다. 그들은 비겁자 취급을 받았고 이 사건은 은폐되었다. 코너 오브라이언 박사는 U.. 2021. 1. 19.
<오퍼레이션 피날레(Operation Finale)> 1. 영화 설명 ​ ㅡ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고,​ SS 친위대 소속으로 게슈타포의 유대인과 과장이었던 '아돌프 아이히만'을 납치하는 이스라엘의 정보기관 모사드의 작전을 보여준다. 어떻게 모사드가 아르헨티나로 도망친 아이히만을 찾는지, 어떻게 납치하여 이스라엘의 재판장에 세울지에 대한 고민을 보여준다. ​ ㅡ 영화 처음 설명 "1939년부터 45년까디 나치은 '국가의 적'이라는 이유로 천만먕 이상을 학살했는데, 그 중 600만명은 유럽계 유대인이었다. 전쟁이 끝났을때, 히틀러, 힘러, 괴링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것으로 법의 심판을 피했다. 나머지 홀로코스트 수뇌부들은 모두 종족을 감췄고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에 소환되지도 않았다. 10년이른 세월이 흘러 세상으로부터 잊혀지기 시작한 SS 친위대.. 2021. 1. 17.
<넷플릭스 ㅡ 모술(Mosul)> 1. 영화 설명 ㅡ 넷플릭스 영화로 루소 형제가 설립한 AGBO 제작사, 2017년 기사를 읽고 영감을 받은 감독이 실화를 바탕으로, 유명 배우 하나 없이 실제 이라크 배우들로 만든 영화. (https://www.newyorker.com/magazine/2017/02/06/the-desperate-battle-to-destroy-isis) ㅡ 영화 첫 장면에 나오는 내용. "이라크 제2의 도시였던 모술에서 벌어진 IS와의 교전이 끝나가고 있다. 다에시로 불리는 IS는 중세시대 방식으로 수년동안 강탈과 고문, 살인을 일삼다가 이제 달아나고 있다. 이 전쟁을 치르는 동안 한번의 휴식도 퇴각도 없이 매일 다에시에 대항해 싸운 유일한 부대는 이 도시 출신자들로 구상된 엘리트 경찰 유닛인 '니네베 스왓 팀(Nin.. 2021. 1. 12.
<더 리버레이터: 500일의 오디세이(The Liberator)> 1. 드라마 설명 ㅡ 넷플릭스 오리지날, 4부작, 2차대전을 배경으로한 전쟁 드라마.ㅡ 실제 배우들이 연기하고 이를 '로토스코핑' 기술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으로 만듬.ㅡ '더 리버레이터'라는 책을 원작으로 하고 500일간 전쟁터에 있었던 157연대의 이야기이다. ㅡ 이탈리아 살레르노를 시작으로 하여 안치오, 프랑스 남부 프로방스, 보주 산맥, 독일 아샤펜부르크까지로 전투 지역이 바뀐다. ㅡ 주인공 스파크스는 인디언과 멕시코인으로 이루어진 오합지졸부대를 최고의 부대로 만들어 부대표창까지 받는다. 그러나 스파크스 부대의 영웅적인 전투 모습에 집중하기 보다는 전우들이 대다수 전사하고, 능력을 인정받으면서도 결국 부대원들이 일으킨 전쟁범죄로 인해 군복을 벗게되는데, 미군이 유럽의 자유를 위한 해방자였지만 한편으로.. 2021. 1. 7.
독일의 임무형 지휘전술, 한국에서도 실현가능한가? ㅡ 주은식 장군님 인터뷰 from youtube 건들건들 출처#1. (84) [궁극의 인터뷰] 독일의 임무형 지휘전술 한국에서도 실현가능?! -前 제1기갑여단장 주은식장군 - YouTube Q. 전쟁사, 특히 기갑전 관련으로 책을 많이 번역하셨던데 이유는? ㅡ 전문직업군인은 전쟁의 경험을 통해 체득하는 것이 최고지만, 전쟁을 매일 할 수 없으니 간접경험을 통해 체득해야함. 피의 기록, 전쟁사를 통해서 전쟁을 간접경험 해야한다. ㅡ 전쟁사를 통해, 1. 적과 아군 2. 작전의 경과 3. 지휘관 리더십의 차이 4. 전쟁의 결과 이를 되풀이해서 읽다보면, 전쟁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ㅡ 세계 1, 2차 대전 전쟁사는 결국 전차 발전사이다. ㅡ 리델하트를 이해하고 현대 재래식 전략과 핵 전략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편이다. Q. 독일장교들이 연합군 장교들을 압도하는 .. 2020. 12. 31.
<#94. 태평양 전쟁> ㅇ서론​ ​ ㅡ 나는 펠렐리우 작전과 오키나와 작전에서 우리 부대가 수행했던 역할과 관련해 공개된 역사서와 문서는 말할 것도 없고 공개되지 않은 것들까지 광범위하게 자료를 수집해왔다. 그러나 이 자료들에 기술된 내용은 내가 전투 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것들과는 매우 큰 차이가 있는데, 나는 그 사실이 매우 놀라웠다. ​ ㅡ 지옥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모두 끔찍한 공포를 잊지 않고 오랫동안 생생하게 기억할 것이다. 하지만 전우들은 조국이 안전하게 평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해주려고 고통을 다했으며 의무를 다했다. 조국이 누리는 평화는 그토록 비싼 대가를 치르고 얻은 것이었다. 우리는 그 빚을 지고 있고 깊이 감사해야 한다. ​ ㅇ 본론 ​ 제1부. 펠렐리우 전투 : 주목받지 못한 전장 ​ 제1장. 해병대원의 탄.. 2020. 12. 28.
<#93. 공산당 선언> ㅇ 서론 ㅡ헤겔의 역사 발전의 변증법 ​ ㅡ 29살부터 헤겔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그는 학문 연구의 방향을 '현실 속에서 이념을 찾는다'로 찾았고, 청년 헤겔파와의 만남을 통해 급진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 ㅇ 본론 ㅡ 하나의 유령이 유럽을 떠돌고 있다. 공산주의라는 유령이. ​ ㅡ 이제 사회의 모든 역사는 계급 투쟁의 역사이다. 자유민과 노예, 세습귀족과 평민, 남작과 농노, 동업자 조합원과 직인, 요컨대 억압자와 피억압자는 부단히 대립했으며, 때로는 은밀하게 때로는 공공연하게 끊임없이 투쟁 ​ ㅡ 어느 시기에나 사회가 여러 계층으로 완전히 구분되어 있으며 사회적 지위들은 다양한 동급으로 차등화되어 있음을 보게 된다. ​ ㅡ 봉건 사회가 몰락하면서 탄생한 현대 시민사회는 이 계급 대립을 폐지.. 2020. 12. 25.
<#92. 전쟁이 요리한 음식의 역사> 한줄평 - 너무나 당연하게 먹은 음식들.. 왠만하면 from 전쟁.​ ㅇ서문 ㅡ 전쟁은 국가와 사회, 문화, 인간의 모습을 가장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대부분 사람은 전쟁하면 단순히 전쟁이 일어났던 장소와 장군, 용감한 병사들이 적과 어떻게 승리했는지에만 관심을 쏟는다. 정작 그 전쟁으로 인해 역사가 어떻게 바뀌었고, 나아가 이후 사람들 삶이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대해서는 별 흥미를 느끼지 않는다.​ ㅇ본문 ㅡ 맥주는 유럽이 아닌 중동의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 ㅡ 바빌론과 이집트 사람들은 발효가 끝난 맥주에 밀가루를 넣어 다시 발효를 시켰다. 또 보리를 직접 끓여 발효시키면 시간이 너무 걸려, 아예 보리로 만든 빵을 불에 굽고 그 빵에 효모를 넣고 끓여서 바로 맥주를 만들기도 했다. ​.. 2020. 12. 5.
<#91. 어느 군사 외교관 이야기> ​한줄평 - ​아는만큼 보인다. 비군사전략의 꽃, 군사외교 ​ ㅇ 본문​ 제1장. 군사외교관에 대한 이해 ​ ㅡ 국가이익은 국가전략의 최대목표로써 국가와 민족의 안전, 경제와 문화의 번영, 그리고 국제적 위상 제고 등을 모두 망라하는 개념이다. ​ ㅡ 새로운 정치체제 형성 시, 많은 군인들이 전쟁과 분쟁 중에 국가에 헌신하는 과정에서, 주요 국가들은 경험적으로 '국가안위의 확보와 국가이익 향상에 기여하는 수단으로서 군사적 부문의 대외적인 노력'이 필수적이었음을 이해하게 되면서, 외교와 국방을 겸한 군사외교(Defense Diplomacy)가 정의 되었다. ​ 즉, 외부로부터 침략을 방지하고 국가의 생존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자국의 군사적 능력을 과시하는 한편, 다른 국가나 국가연합의 군사적 능력과 의지.. 2020.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