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fense & Military178

[영화] 덩케르크(Dunkirk) with youtube 참고#1. https://www.youtube.com/watch?v=1O6k0levXC0 참고#2. https://www.youtube.com/watch?v=GR9793MDnHg 1. 나이가 들었는지.. 영국 어선들이 도착하는 것을 보고 "Home" 이라고 말할때 울컥 1번 "살아돌아와준 것만으로도 고맙다" 라고 말할때 울컥 2번 2. 적의 모습은 총알이나 폭격, 그림자, 비행기 1~2대로만 나타내지만 공포감을 충분히 느끼게 만듬 3. 스핏파이어 1대가 적기 격추시킬때 환호하는 병사들의 모습을 보며 '사기' 라는 것은 사소한 것에도 올라갔다 내려갔다 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음 4. 나치는 왜 공격을 멈췄을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어찌되었든 덩케르크에서의 다이나모 작전은 연합군에게 시간도 벌어주고 전투.. 2020. 4. 19.
#3. 게임으로 PTSD 를 치료한다. 출처#1.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C201816N009 ㅇ게임으로 충격을 치료한다(과학동아) ㅡ 공포스러운 사건은 평균 6시간이 지나면 뇌에 새겨져 오랫동안 남는 단단한 기억이 됨. ㅡ 치료의 원리는 무엇일까? 뇌는 회상하는 동안 ‘작업기억’을 사용함. 작업기억은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기억을 짧게 저장하는 곳 인간이 작업기억에 잠시 저장할 수 있는 정보는 평균 7가지라고 알려져 있음 ㅡ 만약 아무것도 하지 않고 공포스러운 기억을 떠올리면 작업기억은 모두 기억을 다시 단단히 저장하는데만 사용 반면 공포스러운 기억을 떠올림과 동시에 테트리스를 하면 작업기억 중 일부가 테트리스에 사용됨. 즉, 테트리스를 하면 원래처럼 기억이 뇌에 생생하게 새겨지는 것을 방해함... 2020. 4. 19.
<#43. The Holloway Report - 독수리 발톱작전(Operation Eagle Claw)> 한줄평 - 전훈분석단의 일방적인 결과보고서가 아니라 도출된 이슈에 대해서 사건, 부대 설명, 대안, 시사점, 평가로 구분하여 장단점을 분석한 내용이 상당히 신선함​ ㅇ서문 ㅡ 1980년 5월, 합동참모본부는 특수작전 전훈분석단에게 이란 인질 구출작전(Opearation Eagle Claw)의 기획, 조직, 협조, 지시 및 통제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를 의뢰하였으며 이는 향후 특수작전 분야의 발전에 대해 권고하기 위함이었다. ​ ㅡ 전훈분석단의 광범위한 군사적 경험은 어디에서부터 평가를 실시해야 하는지 적절한 관점을 가지게 하였다. 조사세부규칙, 그리고 작전에 대한 이들의 접근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ㅡ 미국 국민에게 가능한 많은 것을 공개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합참은 본 문서를 발간하기 위해 평문화 작업.. 2020. 4. 19.
<#42. 끝없는 테러공격> 한줄평 - 우리나라도 절대 테러와 테러리즘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ㅇ서문 ㅡ 현대사회에서 테러는 더 이상 한 국가나 특정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테러는 일반적인 전쟁이나 분쟁과는 달리 개인 행위자에 의해서도 자행될 수 있으며, 발생 요인이 다양하여 특정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다. ㅡ 이전과 차별화된 무차별적이고 불특정 대다수를 대상으로 공격하는 새로운 유형의 테러리즘을 학계와 테러전문가들은 '뉴테러리즘(New Terrorism)'이라 지칭한다. 무차별적인 대량 인명살상이나 동기가 불분명하고 대중의 지지를 의식하지 않는 테러를 '슈퍼 테러리즘'이라 부르기도 한다. ㅡ 테러에 대응하는 기본원리로 "테러의 잔인성을 이해하는 자만이 테러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 2020. 4. 17.
#3. 국가전략, 군사전략, 작전술, 전술 등 (체계도) 참고#1. 2018 국가안보전략참고#2. 2018 국방백서참고#3. 군사용어사전 - 네이버 ㅇ 정부의 국가안보전략 개관 (참고#1)1. 국가비전 - '국민의 나라, 정의로운 대한민국'2. 국정목표 5가지 - 그 중 외교군사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3. 국가안보목표 3가지4. 국가안보전략 기조 4가지 5. 국가안보전략 과제 5가지ㅇ 국가안보전략과 국방정책 (참고#2) 1. 국가비전2. 국가안보목표3. 국가안보전략 기조4. 국가안보 전략과제5. 국방목표6. 국방비전 - '유능한 안보, 튼튼한 국방'7. 국방정책 6대 기조ㅇ 전략의 체계와 유형 그리고 군사용어사전(참고#3) 1. 국가목적(National Purpose)ㅡ 한 주권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성취하기 위한 국민적, 국가적 열망을 이론적 체계화 과정을 .. 2020. 4. 16.
<#41. 저격의 과학> 한줄평 - 점점 더 중요해지고 필수적인 저격수! 아는게 힘이다!ㅇ서문 ㅡ 해병대에서 암송되는 2020. 4. 14.
<#40. 창끝전투> 한줄평 - 소부대, 창끝전투력이 전쟁의 승패를 결정짓는다!​ㅇ 서문 ㅡ 현대전쟁은 연속적인 공격과 방어로 이뤄진 정규전(Conventional Warfare) 뿐만 아니라 게릴라전 및 안정화작전과 같은 비정규전(Unconventional Warfare)도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한개의 전장에서 정규전과 비정규전을 동시에 수행하는 현대 전쟁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 '전영역작전(Full Spectrum Operations)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ㅡ 우리 군의 전술 교리 발전상채명신 장군님이 창군기부터 베트남전쟁까지 수행한 소부대 전투들을 분석해보면 민군심리작전, 야간침투공격, 중대전술기지, 대게릴라전술 등 어떻게 발전되었는가를 알수 있다. ㅇ본문 1장 창군기 ㅡ 625전쟁 발발 전 북한군은 정규군과 게릴라.. 2020. 4. 14.
<#39. 21세기 한국과 육군력> 한줄평 - 전쟁의 미래, 미래의 전쟁 그리고 육군의 미래, 미래의 육군​ ㅇ서문 ㅡ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필요한 군사력을 구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지휘관들은 항상 지난번 전쟁을 싸운다(Generals always fight the last war)" 라는 경구가 말해주듯이 많은 국가와 군사조직이 그러한 적응에 실패했다. 그렇다면 지금 현재 한국은 어떤가? ㅡ "바보는 자신의 실수에서 배우지만, 현명한 사람은 다른사람의 실수에서 배운다"는 비스마르크의 명언처럼 다른국가의 경험, 특히 전쟁터에서 피를 흘려가면서 획득한 교훈을 소중히 여기고 이를 잘 학습해야 한다. "훈련에서 흘린 땀 한방울은 전쟁에서의 피 한방울"이라는 말이 있듯이 다른 국가의 전투경험과 그 과정에서의 희생은 우리의 피를 아낄 수 있.. 2020. 4. 13.
<#38. 전쟁의 역사를 통해 배우는 지정학> 한줄평 - 전쟁은 왜 일어날까? 평화의 반대가 전쟁일까? 역사는 이를 답해준다.​ ㅇ서문 ㅡ 지정학(Geopolitics)이란 무엇일까? 지정학은 한마디로 '세계에서 일어난 전쟁의 역사를 아는것'이다. 지구상의 어떤 위치에 자리해 어떤 지리적 위기에 노출되면서, 혹은 어떤 지리적 이점을 누리면서 발전해 왔는지를 아는 것이다. ㅡ 그 나라의 성격, 흔히 '국민성'이라고 부르는것 역시 그 근간에 지리적 조건이관여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ㅇ본문 -ㅡ지정학(지리의 정치학)이란 '지리적인 조건이 한 나라의 정치나 군사, 경제에 끼치는 영향을 생각하는 학문'이다. 지리적 조건이 국가의 동향을 좌우한다. 이것이 지정학의 전제다. 근대 이후로 한정한다면 육지보다 바다가 더 중요하다. '팍스 브리태니카' 당시의.. 2020. 4. 12.
#2. JTS, JTTS, BAS, FST, CSH, OCONUS, CONUS, TACEVAC 참고#1. https://en.wikipedia.org/wiki/Battalion_Aid_Station 참고#1. https://en.wikipedia.org/wiki/Forward_surgical_teams 참고#3. https://en.wikipedia.org/wiki/Combat_support_hospital 참고#2. https://www.armyupress.army.mil/Journals/Military-Review/English-Edition-Archives/March-April-2020/Beldowicz-Golden-Hour/ ㅇ 미군의 JTTS 관련 용어정리 1) JTS(Joint Trauma System, 합동 외상체계) 2) JTTS(Joint Theater Trauma System, .. 2020. 4. 12.
#2.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 LOL) ㅇ 리그 오브 레전드, 롤 ㅡ 2012년 소위때 처음 롤을 배웠다. 그때 당시 롤이 시즌 3일때였고 소대의 생활관에서는 모두 OGN 롤 경기를 자주 보던 시기였다. 그래서 소대원들과 함께 TV를 보고, 대화하기 위해 롤을 배웠다. ㅡ 롤이라는 게임의 특성과 룰에 대한 설명을 하려고 글을 쓴 것은 아니다. 12년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즐기고 있는 게임이니 나름 군생활 동안 함께한 동반자(?)인 셈이다. 필자의 랭크 티어는 플레티넘으로 그렇게 높지도, 낮지도 않다. 그러나 롤에서 랭크게임을 하면서 느낀점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ㅇ 롤의 특성 1. 롤이란 게임의 목적 ㅡ 롤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적의 타워와 넥서스를 먼저 파괴하는 팀이 이기는 경기다. 상대 챔피언들을 죽이거나 드래곤과 바론이라는 오브젝트를 많.. 2020. 4. 12.
<#37. 전쟁에서 살아남기> 한줄평 - 전쟁, 그 이면의 사소한(?) 것들 또한 전쟁의 승패를 좌우한다. ​ ㅇ 서문 ㅡ 내가 군사과학에 흥미를 느낀것은 덜 중요시되는 적들과 벌이는 조용하면서 은밀한 전투에 혹해서다. ​피곤, 충격, 세균, 공황상태, 오리, 설사 등 ㅡ 반드시 총이나 깃발을 들어야만, 또는 들것에 실려 가야만 용감하다는 말이 붙는 것은 아니다. 때로 용기란 주변 사람들과 다르게 생각하려는 의지와 같다. ㅡ 용기는 1차 세계대전 때 구더기가 상처의 썩은 부위를 먹어치우도록 놔둠으로써 팔다리와 목숨을 구한 군의관 윌리엄 베어의 행위를 가르킨다. 전쟁터에서 죽은 사람의 피를 다친사람에게 수혈해도 안전한지를 검사하기 위해, 직접 자기 몸에 시체의 피를 주사한 의사 하먼 멀러의 행동을 뜻한다. ㅡ 때로는 적은 승리와 너그러.. 2020.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