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fense & Military178

<#2. Pocket guide to Germany> ㅇ Occupation versus Pacification ㅡ "You are not in Germany, however, to carry a chip on your shoulder or to brutalize in inhabitants. We are not like the Nazis" The message was simple, but it demanded a lot of the young men to whom it was addressed: Wasn't the struggle against Nazi Germany, which had subjected half of Europe to its brutal domination, the main motivation for the hundreds of thous.. 2020. 3. 26.
<#25. 정보전쟁> 한줄평 - 전쟁의 승패와 국가의 존망에 필수불가결한 요소, 정보의 중요성! 필요성!​ ㅇ 서론 ㅡ 정보란 적과 적국에 대한 지식의 전체를 의미하기 떄문에, 전쟁에서 아군의 모든 계획과 행동의 기초를 이룬다. - 클라우제비츠 ㅡ 정보가 만능은 아니다. 정보만으로는 전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 하지만 정보는 승리를 위한 충분조건은 아니더라도 승리를 위한 필수 불가결한 요소다. 시대를 막론하고 모든 전쟁에서 정보는 어떤 형태로든 승패를 좌우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해 왔다. ㅇ 본론 1. 성공한 정보, 승리의 열쇠가 되다. ㅡ 여러분의 성공은 기억되지 않지만, 실패는 만천하에 드러나게 될 것이다. - 케네디 대통령 가. 제 1차 세계대전 - 치머만 사건과 영국 정보전의 승리 ㅡ 미국은 전쟁이 시작되고 3년이 경과할.. 2020. 3. 25.
#1. Mission Command, AUTL, METL, TEO, QLA + UJTL 2020. 3. 24.
<#24. 세계의 보병장비> 한줄평 - 아주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기에, 보병장비에 관한책이지만 전투원이라면 알아야함!​ ㅇ서문 - 거대한 함선, 세련된 항공기, 강력한 전차 등에 비한다면 너무나 하찮게 보이는 보병. - 보병은 군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병과이자 보병이 없이는 군대라는 조직자체가 성립할 수 없다 전쟁을 최종적으로 마무리 짓는 것 또한 보병이다. ㅇ본문 ​ 1.개인화기 ㅡ M1 개런드 / 반자동소총 ㅡ StG44 슈투름게베어(돌격총) ㅡ 돌격소총의 베스트셀러 AK-47 / 절삭가공, 프레스가공, 다이프레스가공 ㅡ AK의 라이벌 M16 / 륭만(Ljungman)식 가스압 작동 ㅡ 권총사격 / 위버스탠스, 삼각형자세 ㅡ 저격소총의 총열은 프리플로팅 배럴(Free-Floating barrel)로 사격시 진동을 .. 2020. 3. 20.
<#23. 북한은 누가 움직이는가> 한줄평 - 우리는 북한을 몰라도 너무 모른다. ㅇ 서론 ㅡ누가 북한을 움직이는가? 답은 뻔하다. 김정은이다. 하지만 우리는 북한을 모른다. 이 불가사의한 독재 국가를 누가 어떻게 굴리고 있는지, 그 실체가 궁금했다. ​ ㅡ북한을 움직이는 사람과 구조에 대한 심층탐사 결과, '파워 엘리트'와 '해외 노동자' 라는 2개의 키워드를 뽑아냈다. '파워 엘리트'는 실무에 밝은 경제, 과학, 기술분야의 젊은 관료들이다. 북한 경제를 움직이는 해외 송출 노동자들은 스스로를 달러 히어로즈라는 이름으로 불렀다. ㅇ 본문 1. 김정은 시대, 판을 바꾸다. ㅡ오랜 세월 애증의 시간을 보냈음에도, 우리가 북한에 대해 아는 것이 거의 없다는 사실. ​ ㅡ김정일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선군정치를 내걸었다. 군에 대한 당적 지도가.. 2020. 3. 18.
<#22. 장군의 전역사> 한줄평 - 나는 전문가인가? 열정적인가? 창의적인가? ㅇ서론 ㅡ "당신이 배를 만들고 싶다면 사람들에게 목재를 가져오게 하고, 일을 지시하고 일감을 나눠주는 일을 하지 말라. 대신 그들을 바다로 데리고 가 저 넓고 끝없는 바다에 대한 동경심을 키워줘라" 생택쥐폐리. ㅇ본론 ​ 1. 물의 소리(애국, 체력, 극기, 정의) ㅡ워성틴DC에 있는 한국전쟁 참전기념비 "Freedom is not free / 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Our nation honors her sons and daughters who answered the call to defend a country they never knew and a people they never met / 우리나라는 그들이 전혀 알지 못했던 나라.. 2020. 3. 17.
<#21. 3층 서기실의 암호> 한줄평 - '외교는 총성없는 전쟁이다.' 북한은 생각한거보다 더 전략적이고 여러모로 심각하다. ㅇ본문 1. 김일성 시대 ㅡ1991년, 소련이 한국과 외교관계를 설정함으로써 동북아 세력구도에 커다란 변화가 생겼다. ㅡ김일성이 평생 고집해온 남북 유엔 동시가입 반대정책이 한순간에 무너졌다. 김일선은 또한 북한이 먼저 유엔 가입신청서를 제출하게 되면서 '한반도 영구분단의 책임'까지 떠안았다. ㅡ그때까지 북한의 모든 교과서에는 남북 유엔 동시가입과 '두개 조선' 조작 책동을 반대한다고 나와 있었다. ㅡ김일성과 김정일에게 소련과 중국은 이제 믿을 수 없는 동맹국이었다. ㅡ피란민 행렬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본 김일성은 핵무기의 위력을 절감했다. 물리적, 군사적 위력이 아니라 인간에게 미치는 심리적 위력에 대해서다. ㅡ.. 2020. 3. 16.
<#1. Adolf Hitler> ​ㅇ Foreword​ㅡ As the radical leader of his party - the National Socialist German Workers' Party(NSDAP) - Hitler came to power in Germany in 1933. By then, he had already made his plans very clear: to create "Living space in the East(Lebensraum) for the German people and to destroy "Jewish Bolshevism". Each of these could only mean one thing: War.​ㅇ본문​제1장. Political Awakening​ㅡ While still a memb.. 2020. 3. 15.
[영화] 1917 with youtube 참고#1. https://www.youtube.com/watch?v=HaDCckgzvnc 참고#2. https://www.youtube.com/watch?v=6opoF91yM9Q 참고#3. https://www.youtube.com/watch?v=x_D6uKQX1Wc 참고#4. https://www.youtube.com/watch?v=W6sBNfK2dIA 참고#5. https://demaclub.tistory.com/2425 ㅇ 소감 1. 롱테이크 촬영기법의 효과로 인해 1917년 당시 주인공들과 함께 참호를 걷는 경험. 긴장감 높게 몰입해서 보는 재미도 있음. IMAX로 보는 것을 추천. 2. 참호전 당시의 모습, 철조망과 참호 뿐만 아니라 진흙, 포탄구덩이, 그 안에 내던져진 시체들을 잘 표현함. 3.. 2020. 3. 15.
[안될과학] 해킹과 보안기술의 발전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a-PWX1pH6GU ㅇ Hack 의 어원 ㅡ 어떤 특별한 의미 없이 순수하게 특정일에 몰두해서 즐겁게 하는 작업인 '덕질'을 의미 ㅡ 해커는 덕질을 하는 사람들을 의미. MIT 에서 기원 ㅡ 해커란 의미는 변질되어 '크래킹'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 자연스레 이미지도 나쁘게 됨 ㅇ 블랙 햇 해커 vs 화이트 햇 해커 ㅡ 법이라는 것이 애매하고, 상황에 따라 선과 악을 구분하기가 애매하기에 그레이 햇 해커도 있음 ㅇ 보안의 역사 ㅡ BC. 58년 로마 카이사르는 시저 암호를 사용함 ㅡ 에니그마 vs. 콜로서스(튜링의 작품) -> 컴퓨터 발명의 토대 ㅡ 컴퓨터의 등장으로 정보의 보안은 하드웨어 뿐마 아니라 소프트웨어까지 넘어감 ㅡ 디피-헬먼.. 2020. 3. 14.
<#20. 독일군의 신화와 진실> ​한줄평 - 알면 알수록 재밌는 독일의 역사 ㅇ 본문 1. 시초 및 배경 ㅡ두차례의 세계대전에서 인적, 물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혁신적인 전술 기법으로 수년간 성공적인 전투를 수행할 수 있었던 독일의 지휘철학은 과연 얼마나 우수한 것이었을까? ㅡ클라우제비츠가 전략을 정치의 일부로 보았던 반면, 몰트케는 전략을 전쟁 개시단계부터 종결단계까지 최초부터 '정치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행동'으로 인식했다. ㅡ슐리펜은 클라우제비츠가 전쟁의 본질이라 규정한 마찰요소들을 무시했다. 신속한 작전적 승리를 중시한 반면 전쟁수행의 전략적 관점, 예를들어 경제전쟁 또는 심리전과 같은 요소들은 경시했다. 이러한 사고방식으로 정규 군사작전 이후 사태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지지 않았고, 그 결과 국민전쟁이나 게릴라전을 예측하는데 실패.. 2020. 3. 13.
<#19. 도해 특수부대> 한줄평 - 특수한 전사들의 발전을 위하여! ㅇ본문 ㅡ특수부대에는 군계통과 경찰치안계통으로 나뉘며 투입시기의 판단 기준에는 차이가 있다. 군계통 - 국익과 관련된 중대한 사항인가? 업무 내용상 일반 부대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일인가? 경찰치안계통 - 사태의 장기화를 피해야만 하는 구체적인 이유가 있는가? 법적 근거라는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가? ㅡ특수부대원이라고 '냉혹무비한 킬링 머신'이라는 이미지가 많다. 하지만 특수부대의 임무는 그저 단순한 살육자이기만 해서는 수행할수가 없다. '민사작전', '협력자와의 연락 및 거래', '농성 중인 범인의 설득' 등 모두가 일정 수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없이는 불가능한 임무이다. ㅡ'공수/공정부대', '해병대' 는 특수부대인가? 능력적으로는 근접해있지만 특수부대라고.. 2020.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