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y Archive263

이스라엘 군 관련 내용 출처#1. [서울신문] 예비군이 ‘승진’하고 월급의 1.5배 수당 받는 나라 [밀리터리 인사이드] (seoul.co.kr) 예비군이 ‘승진’하고 월급의 1.5배 수당 받는 나라 [밀리터리 인사이드] 이스라엘, 장애인·여성·소수민족도 영입예비군은 임금 1.5배…승진도 가능장교, 사병부터 거쳐야…근무 부대 임관징집 여성 비율 60%…기준 까다로워국위 선양해도 ‘병역 면제’ 없어이스라 www.seoul.co.kr 참고#1. (tistory.com) 한줄평 - 아랍국가와 이스라엘에 대한 폭넓은 식견과 풍부한 경험! 과연 우리는 이스라엘과 비교했을때 어떠한가? 우리는 과연 '힘찬 연어'가 될 역량을 갖추었는가? 진지하게 고민해봐야할 때 leesh0523.tistory.com 참고#2. 관련 내용정리 (tistor.. 2020. 11. 30.
북 독침전략, 섞어쏘기, 상쇄전략 출처#1. 北 독침전략에 맞설 한국형 相殺전략 시급하다 - 유용원의 군사세계 (chosun.com) 北 독침전략에 맞설 한국형 相殺전략 시급하다 #장면1지난 9월 말 시작해 지난 10일 끝난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선 보기 힘든 광경이 벌어졌다. 무인기(UAV·Unmanned Aer...... bemil.chosun.com ㅡ 무인기(UAV·Unmanned Aerial Vehicle) 또는 이보다 작은 드론에 방호 능력이 없는 일반 차량은 물론 장갑차량까지 파괴되는 모습이 아제르바이잔 국방부가 공개한 영상으로 생생하게 전 세계에 전달된 것이다. ㅡ 아제르바이잔의 공습은 터키제 무인기인 TB2 바이락타르가 주도했다. 바이락타르는 길이 6.5m, 날개 폭 12m로 150㎏의 무장을 실을 수 있고, 최대.. 2020. 11. 29.
미, 해상에서 ICBM 격추시험 성공, 일본 내년 이후 배치 계획 출처#1. n.news.naver.com/article/214/0001080239 출처#2. n.news.naver.com/article/001/0012023505 출처#3. fb.watch/1THo7aLXz7/ 북한 ICBM 위협 겨냥했나? 16일(현지시간) 미 해군 이지스 구축함 존 핀에서 발사된 SM-3 블록 2A 미 북한 ICBM 위협 겨냥했나? 16일(현지시간) 미 해군 이지스 구축함 존 핀에서 발사된 SM-3 블록 2A 미사일이 모의 ICBM을 우주공간에서 요격하는 과정 16일 오후 7시 50분(하와이 시각 기준) 미 해군은 마 www.facebook.com ㅡ 미국 미사일방어청(MDA)이 17일(현지시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요격 시험에 성공한 신형 'SM-3블록2A' 미사일의 일본 .. 2020. 11. 19.
<2021년 미국 군사력 지표 보고서> 미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 북 ICBM 언급 출처#1. n.news.naver.com/article/025/0003053362 출처#2. www.heritage.org/military-strengthwww.heritage.org/sites/default/files/2020-11/2021_IndexOfUSMilitaryStrength_WEB_0.pdf 출처#3. www.heritage.org/military-strength/executive-summarywww.heritage.org/sites/default/files/2020-11/2021_IndexOfUSMilitaryStrength_ABOUT_EXECUTIVE_SUMMARY.pdf 출처#4. www.donga.com/news/article/all/20201120/104058826/1 ㅇ CIA .. 2020. 11. 18.
미 의회연구소(CRS) "새로운 강대국 경쟁" 보고서 내용정리 출처#1. crsreports.congress.gov/product/pdf/R/R43838/66 출처#2. blog.naver.com/kima20298/222141508094 ㅇ Summary ㅡ The post-Cold War era of international relations—which began in the early 1990s and is sometimes referred to as the unipolar moment (with the United States as the unipolar power)— showed initial signs of fading in 2006-2008, and by 2014 had given way to a fundamentally different situatio.. 2020. 11. 12.
2021 인공지능 산업 트렌드 보고서 출처#1. n.news.naver.com/article/009/0004686766 ㅡ ‘인공지능 현황 보고서(State of AI 2020)’ ㅡ ‘인공지능 사이클 보고서(The Gartner Hype Cycl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2020)’ 1. 뛰어난 연구소의 기술적 우위는 심화된다. 2. 실용적 인공지능은 더 대중화된다. 3. 의료 분야 활용 본격화된다. 4. 세계 각국의 군사적 AI 투자 강화 ㅇ 본문 1. 뛰어난 연구소의 기술적 우위는 심화된다. ㅡ 인공지능 연구가 점점 더 폐쇄적이 되어 간다는 내용, 2016년 이후 인공지능 연구결과물들이 자신의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비율은 15% 정도로 전혀 변화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오픈AI나 딥마인드 등과 같은 인공지능 연.. 2020. 11. 8.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분쟁, 드론 전쟁, 정밀유도무기, 선전전 / 냉혹한 국제관계, 왜 누구도 아르메니아를 돕지 않았나 출처#1. n.news.naver.com/article/025/0003050328 출처#2. n.news.naver.com/article/001/0012027691 ㅇ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분쟁 ㅡ 1904년 2월 ~ 1095년 9월, 러일전쟁은 10년 후 유럽과 세계를 뒤흔들었던 1차 세계대전에서 벌어졌던 참호전 참상의 예고편이었다. ㅡ 특히 뤼순 공방전에서, 러시아는 중국의 뤼순을 요새로 만들었다. 철조망으로 둘러싸인 콘크리트 토치카에 당시 최신 무기였던 기관총을 배치하였다. ㅡ 당시 영, 프 등 유럽 각 국가의 장교들은 참관단 형식으로 뤼순 공방전을 지켜봤지만 철조망과 기관총이 앞으로 전쟁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짐작도 못 했다. ㅡ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사이에 일어난 국경분쟁, 둘다 군사강.. 2020. 11. 8.
미군 분대규모 변화, 해병대 및 육군, IVAS, Do-it-all goggle, 군견 고글 출처#1. www.armytimes.com/news/your-army/2020/11/05/will-the-army-change-the-size-of-the-infantry-squad-a-new-study-is-looking-at-it/?utm_campaign=Socialflow+MIL&utm_medium=social&utm_source=facebook.com 출처#2. www.marinecorpstimes.com/news/your-marine-corps/2019/08/09/15-marine-rifle-squad-an-exclusive-look-inside-the-future-infantry/ 출처#3. https://www.armytimes.com/news/your-army/2020/11/03/soldi.. 2020. 11. 6.
한반도 주변국, 6세대 전투기 개발 경쟁, KFX 수준 출처#1. 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205642&memberNo=41429104 출처#2. www.yna.co.kr/view/AKR20200902002100108?input=1195m 출처#3. www.nocutnews.co.kr/news/5281692 출처#4. theleader.mt.co.kr/articleView.html?no=2020022811037857563 출처#5. www.newspim.com/news/view/20201029000141 ㅇ 6세대 전투기의 특징 ㅡ 6세대 전투기는 5세대 전투기와 다른 뚜렷한 특징을 갖추고 있음. 1) 광대역 스텔스 성능 ㅡ 저주파 등 특정대역의 주파수에 탐지되는 5세대 전투기 결점 보완, 수직꼬리.. 2020. 10. 29.
일본 경항모 개조, F-35 105대 구매, 차세대 전투기 출처#1. 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205740&memberNo=41429104 ㅡ 이즈모급 항모 이즈모함과 카가함 2척에 F-35B 전투기 배치를 위한 개조 시작. 주요 개조부분은 전투기 하중을 버틸 수 있는 비행갑판 강화와 수직 이착륙 시 내뿜는 강한 배기열을 견딜 수 있는 갑판 설치 등 ㅡ 이즈모 항모는 배수량 27,000t 의 헬기구축함이나, 설계당시부터 F-35B 배치를 염두에 두고 격납고, 엘리베이터, 비행갑판 등을 개발해 약간의 개조만으로도 5세대 수직이착륙기를 배치할 수 있게 함. 하지만 착함 장치, 캐터필트 사출 시스템 또는 스키점프대가 없기에 F-35B 탑재 무장량과 연료량 제한 전망. ㅡ 미 국방안보협력국(DSCA)는 7월 .. 2020. 10. 29.
미 육군 미래사령부 (US Army Futures Command) 출처#1. m.terms.naver.com/entry.nhn?docId=6118844&cid=60344&categoryId=60344&isLatest=true ㅇ 미 육군 미래사령부 ㅡ 미래전쟁을 준비하는 미 육군의 정예조직 ㅡ 2001년 발생한 9·11테러 이후 미국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시리아 등 중동 일대에서 이슬람 무장단체를 상대로 비정규전을 수행해오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는 이 기간을 틈타 무기체계 첨단화, 군 구조 개편 등 군사력의 현대화를 추진하였다. 자신들의 영향력을 주변으로 확대하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중국은 2013년 일대일로(一對一路) 전략을 공포한 이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과의 패권 경쟁을 시작했고, 러시아는 2014년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합병에 이어 돈바스(Donbass).. 2020. 10. 28.
미 특수부대 탈바꿈, 대테러전, 비정규전 출처#1. n.news.naver.com/article/001/0011937553 ㅡ 미국의 대테러전 방식이 크게 바뀐다. 지난 20여년 동안 주력해온 '마초'형 특수부대원 중심에서 인공지능(AI), 드론 등 소프트웨어활용을 강화한 방향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ㅡ 이를 위해 정보전, 배타적 경제수역(EEZ) 내 어로 활동이나 자원개발 같은 '회색 지대 작전' 등 미래전 분야 역량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현 방식으로는 중국과 러시아 등 강대국들을 상대로 한 '하이브리드전'에 대응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ㅡ 이와 관련해 조 프랜세스컨 국방부 부차관보(특수전·대테러전 담당)는 최근 이를 공식화했다. 그는 경제력을 앞세운 중국의 공세와 허위정보 유포 등 러시아의 정보전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하다고 강조했.. 2020.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