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평 - 소부대가 강한 부대가 승리한다!!
ㅇ 서문
ㅡ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소전역에서의 독일군 소부대 전투사례들을 분석 및 정리하여
1953년 "Small Unit Actions during the German Campagn in Russia" 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주요 내용은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에 고립된 독일군 6군 예하의 소부대들이 혹한의 상황에서
러시아군의 대규모 역공세에 대항하면서 전개한 소부대 전투사례들이다.
ㅡ 필자가 이 책을 번역이 아닌 편역을 하기로 결심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군 전술은 러시아 군에 뿌리를 두고 있다.
둘째 원서에는 혹한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전투정찰, 소부대 공세행동, 사격과 기동, 은폐와 엄폐 등의
소부대 전투기술과 전술들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셋째 전술적 수준에서의 각 병과간의 제병협동 방법이 구체화 되어 있다.
ㅡ "소부대가 강한 군대가 전쟁을 승리로 이끌 수 있다."
ㅇ 본문
1. 보병편
ㅡ그들이 보유하고 있었던 군사지도와 포로로부터 획득한 지도가 실제 지형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공격작전 이전에 지형정찰을 실시했다.
작전지역에 대한 정확한 지형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채 공격작전을 전개한다면 적의 매복에 기민한 대처를 할수 없다.
ㅡ 3대대장의 러시아어 수준이 높았더라면 독일군은 러시아군의 의도와 방어배치에 대한 추가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었다. 따라서 적 전술과 언어에 능통한 전문요원을 육성해야할 필요가 있었다.
ㅡ 포병과 박격포의 공격준비사격 없이 야음을 이용한 러시아군의 기습공격은 전형적인 공격전술이었다.
일부 러시아군은 각성제 다섯알, 임무를 완수하는 대가로 주류를 지급받기로 약속받았다.
이는 영하 25도의 온도로부터 발생하는 고통을 완화시켰으나, 효과가 떨어지면 러시아군은 극심한 추위에 떨어야했고,
국지경계에 투입된 병사들의 사지는 마비되기도 했다.
즉 러시아군은 동계작전에 대한 기본적인 준비도 없이 공격작전에 투입된 것이다.
ㅡ 러시아군은 공격제대를 여러제대로 구분하여 제파식 공격을 실시하였다.
1제대의 공격이 돈좌되면 바로 2제파가, 그다음 3제파가 초월공격을 실시하여 목표를 확보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ㅡ 러시아군의 소부대 지휘관 및 지휘자들은 갑작스런 상황변화에 대한 실시간 상황판단 - 대응 - 조치에 미흡하였다.
러 초급장교들의 능력보다는 작전실패에 따른 처벌에 대한 공포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그들의 정치체제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다.
ㅡ 독일군 연대장은 심리전을 고안하였다.
러시아군이 일반적으로 영양상태가 좋지 않아 매우 굶주려 있어 먹을 것을 발견했을때는
이성을 잃고 탐욕스러워진다는 전제로 구상되었다.
취사병들은 콩스프를 끓이고 소포들을 풀어헤쳐 길거리 위에 위치시켰다.
독일군 2개 대대는 철수를 시작하였고 추격하던 러시아군 병사들은 콩수프냄새와 소포들을 발견하고 주저하였고,
그 결과 독일군은 아무런 피해없이 철수할 수 있었다. 시간확보 뿐 아니라 전투력도 보존하게 만들었다.
ㅡ 전투경험이 많은 숙련된 병사들은 비록 자신들의 지휘관이 부재하더라도 최선을 다해 전투에 임하였다.
ㅡ 적 전차와의 전투경험이 없는 보병부대는 반드시 대전차무기를 휴대해야한다.
2. 기갑편
ㅡ 제 2차대전 당시 연합군 간의 무기대여협정은 러시아군의 전차부대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ㅡ 독립작전을 수행하는 전차부대는 반드시 기계화 보병이랑 편조되어야 한다.
ㅡ 러시아군의 전차매복은 당시 독일군에 비해 훈련과 장비 수준이 열세한 것으로부터 고안된 것이었다.
적을 경시하는 상대에게는 치명적인 손실을 안길 수 있다.
ㅡ 당시 러시아군의 기갑 및 기계화부대를 지휘하던 페데렌코 원수는 작전예규를 작성하여 배포하였다.
1. 전차군단은 72~96시간의 작전지속능력을 보유해야한다.
2. 전차군단의 집결과 재편성은 항상 야간에 이뤄져야 한다.
주간동안 재편성이 불가피할 시 3~5대 이상의 전차가 집결해서는 안된다.
3. 50km 이상의 장거리 기동은 금지한다.
4. 전략적 수준에서의 포위, 재보급, 예비부품, 전차정비지원 등이 치밀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유류 - 기동장비 만충량의 2배, 탄약 - 기본휴대량의 2~3배, 식량 5일분 등
3. 공병편
ㅡ 보병부대의 지원을 받지 않는 단 한 개의 공병대대에 부교설치 임무를 부여하는 것은 분명히 착오판단이었다.
부교 설치의 지체로 아군의 교통체증을 가중시키고 적의 역습을 허용하였다.
지휘관은 전장을 면밀히 살피면서 예하부대에 임무를 부여해야하고 절대로 군사적 도박을 실시해서는 안된다.
ㅡ 독일군은 소음측정기를 휴대한 주야간 청음초를 공병으로 편성하여
러시아군의 터널굴토 예상지역에 집중적으로 배치하였다.
4. 타이가, 툰드라 전투편
ㅡ 러시아군은 기동이 불가능할 곳이라 평가하는 지역을 전차와 포병마저도 통과함으로서 독일군을 깜짝 놀라게 했다.
특히 독일군이 설치해 놓은 장애물과 장벽들을 우회하거나 개척하는 러시아군의 속도는 독일군에게 기습 그 자체였다.
이런 능력으로 러시아군은 주로 후퇴하는 독일군을 포위하기 위해 포위기동을 실시하였다.
ㅡ 독일군의 후방지역에서는 공병소대가 러시아군의 방어시설물들과 유사한 모형물을 제작하였다.
강습소대는 거의 2주일 동안 이곳에서 예행연습을 실시했고 몇번은 실제 기동사격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이 준비기간 동안 강습소대의 무기, 피복, 장비들은 지원부대들과의 완벽한 제병협동전투를 위해 실험되었고,
미비점은 지속적으로 보완되었다.
하지만 아무리 철저한 작전준비를 실시하더라도 전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작전의 성공은 보장할 수 없다는 사실!
5. 러시아군의 하천지역 작전
ㅡ 러시아군 하급제대 지휘관들은 강을 도하하여 적의 방어진지를 침투 및 돌파하기 위해
편성된 서로 다른 규모와 병과의 소부대들을 통제하는 경험이 부족하였다.
또한 기갑, 공병, 전술항공은 보병부대와 충분히 협조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어렵게 획득한 부분적인 성과를 전체로 확대하는데 실패하곤 했다.
ㅡ 러시아군은 독일군의 항공관측으로부터 교량을 은폐하고,
조기에 교량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차례 물속에 교량을 설치하였다.
6. 산림지역 전투
ㅡ 산림지역에서는 규모에 상관없이 소부대의 역할이 중요하다.
빽빽한 산림지역에서 전투임무를 부여받은 부대는 사격과 관측이 제한되고 상황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예하부대를 소부대 단위로 분산하여 운용할 수 밖에 없다.
산림전투에 대한 정신적 부담감은 매우 크기 땜누에 경험이 없는 병사들은 곧바로 심리적 마비를 겪게 된다.
실제로 산림지역에서의 모든 포탄소리는 다른 지역에서보다 더 크게 들리기 때문이다.
ㅡ 생소한 전장환경에서 발생하는 공포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지휘관과 지휘관의 리더십이다.
ㅡ 러시아군은 지면의 강도가 강한 지역에서도 구축하기 힘든 것을 습지가 형성되어 있는 산림지역에
축성물들을 구축했다. 얼마나 능수능란하게 방어진지를 구축하고 포위망을 탈출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다.
ㅡ 독일군 68보병사단장은 적의 공격이 임박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진지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방어 대신 기동방어를 선택했다. 러시아군의 전투력이 상대적으로 강했기 때문이다.
산림지역에서 놀라운 침투능력과 기동력을 발휘하는 러시아군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지역방어보다 기동방어가 효과적이다.
ㅡ 독일군은 방송장비의 확성기로부터 전장소음을 흘려보냈고 독일군 전차들이 접근하는 소리에 러시아군 지휘관들은
통신작전보안을 지키지 않은채 무선통신을 실시하여 러시아군 방어체계의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이렇게 러시아군의 주요부대의 표적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7. 대파티잔(파르티잔, 게릴라) 작전
ㅡ 파티잔 부대와 같은 게릴라부대는 지형의 이점을 보유했기에
이들을 압도할 수 있는 전투력, 전차 및 중화기와 같은 강력한 무기체계를 보유해야 한다.
ㅡ 파티잔 부대를 완전히 포위하기 위해서는 포위망의 밀도를 높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들은 각개로 분산하여 포위망으로부터 탈출하고,
필요시 돌파를 실시한 후 사전에 선정된 지점에 재집결하기 때문이다.
ㅡ 정규전부대가 현지 지형에 밝은 게릴라부대를 쉽게 격멸할 수 없다는 불편한 진실
'Defense & Military > 국방군사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미사일 구조 교과서> (0) | 2020.04.09 |
---|---|
<#35. 궁극의 군대> (0) | 2020.04.08 |
<#33. 하룻밤에 읽는 일본 군사사> (0) | 2020.04.02 |
<#32.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0) | 2020.04.02 |
<#31. 어떻게 이길 것인가?> (0) | 2020.04.01 |
댓글